카테고리 없음

쥐뿔'도 모르면서의 유래(펌)

moses-lee 2011. 10. 3. 21:40

쥐뿔'도 모르면서

쥐뿔’도 없으면서 체 하기는......

쥐뿔’도 모르면서 아는 체 하기는......
쥐에 뿔이 있을까요, 없을까요? 물론 없습니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뿔이 없는 쥐를 보고 "쥐뿔도 없다", "쥐뿔도 모른다"고 할까요?

쥐뿔에 대한 옛날 이야기입니다
.
옛날 어떤 마을에 한 남자가 살고 있었다
.
그는 한가할 때면 윗방에서 새끼를 꼬았는데,

 그 때 생쥐 한 마리가 앞에서 알짱거렸다.
그는 조그만 쥐가 귀엽기도 해서 자기가 먹던 밥이나 군것질 감을 주었다
.
그러자 쥐는 그 남자가 새끼를 꼴 때마다 그 방으로 왔고,

그 때마다 그 남자는 무엇인가 먹거리를 조금씩 주고는 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남자가 이웃마을에 외출을 했다가 들어오니

자기와 똑같이 생긴 남자가 안방에 앉아 있지 않은가?
그는 깜짝 놀라서 외쳤다
.
"
네 이 놈, 너는 누군데 내 방에 와 있는 것이냐
?"
그러자 그 남자도 같이 고함을 지르는 것이 아닌가
?
"
너야 말로 웬 놈이냐
?'
집안 식구가 모두 나왔으나 도대체 누가 진짜 주인인지 알 수가 없었다
.
자식은 물론 평생을 함께 살아온 부인까지도 구별할 수 없을 만큼 둘은
똑 같았다.
어쩔 수 없이 모든 식구가 모인 상태에서 집안 사정에 대해 질문을 하고,

대답을 정확하게 하는 사람을 진짜 주인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부인 이름, 아버지 제사 날, 아들 생일 등등… 둘 다 막힘이 없이 대답을 했다
.
그러자 부인이 부엌의 그릇 수를 물어 보았다
.
아무리 주인이라도 옛날의 남편들은 부엌 출입을 거의 하지 않았다
.
부엌 살림살이는 물론 그릇이 몇 개인지 어찌 알겠는가
?
진짜 주인은 대답하지 못했으나,

가짜는 그릇과 수저의 수까지 정확하게 맞추었다.
결국 진짜 주인은 식구들에게 모질게 두들겨 맞고 쫓겨나고

가짜가 그 집의 주인이 되었다.

자신의 집에서 쫓겨난 그는 신세를 한탄하며 이곳 저곳을 떠돌았다
.
그러다가 어느 절에 들러서, 노승에게 자신의 처량한 처지를 하소연했다
.
노승은 여차 조차 사연을 들은 뒤에 이렇게 말했다
.
"
그 가짜는 당신이 먹거리를 준 생쥐라오.

그 놈은 당신 집에서 살면서 당신에 대한 모든 것을 파악했고,

부엌에서 밥을 훔쳐 먹다 보니 부엌살림까지 알고 있었던 것이오."

그는 노발대발하며 당장 돌아가서 그 생쥐를 때려 죽이겠다고 했다.
노승은 조용히 타일렀다
.
"
어림 없는 말이오. 그 놈은 당신의 손때가 묻은 밥을 얻어먹으면서 당신의

정기를 모두 섭취해서 영물이 되었소. 그렇게 쉽게 죽일 수는 없을 거요."
"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
"
여기 내가 기른 고양이를 줄 테니 데리고 가서 여차 조차 하시오
."
그는 노승에게 얻은 고양이를 보따리에 감추고 자신의 집으로 들어 갔다
.
대청에는 가짜 주인이 자신의 부인과 함께 담소를 나누고 있다가 소리를
질렀다.


"
저 놈이 그렇게 혼나고도 또 왔단 말이냐?"
그러자 아들을 비롯한 식구들이 모두 나왔다.

그 때 그는 보따리를 풀어헤치며 고양이를 내놓고 이렇게 대꾸했다.
"
오냐, 이 놈아. 이것이나 본 뒤에 떠들어라
."
가짜 주인은 고양이를 보자 혼비백산하여 피하려 했지만 고양이가
더 빨랐다.

비호같이 덤벼들어 목을 물자 가짜 주인은 다시 생쥐로 변해서 찍찍거렸다.
"
이래도 누가 주인인지 모르겠느냐?"


그가 지금까지의 사연을 털어 놓자,

아내와 가족들은 백배 사죄하면서 잘못을 빌었다.
그 날 밤 술상을 들고 남편에게 온 아내는 고개를 들지 못했다
.
남편은 껄껄 웃으면서 말했다
.
"
여보, 당신은 나와 그만큼 살았으면서 내 뿔과 쥐뿔도 구별 못한단 말이오
?"
아내는 더욱 고개를 들지 못했고,

남편은 너그럽게 용서를 해주고 잘 살았다고 한다.

위 이야기에서 뿔은 남자의 성기를 가리킨답니다
.
여기에서 "쥐뿔도 모른다."라는 말이 생겼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
그러나 아무리 속담이라도 남자의 성기를 입에 담기는 남사스러운 일
.
그래서 외형상 성기와 유사한 뿔로 바뀌어서 "쥐뿔도 모른다."

속담이 된 것이랍니다.
이 속담의 의미는 "평생을 함께 산 배우자의 몸에 대해서도 모르는 주제에 뭐가

잘 났다고 아는 척 하느냐? , 당연히 알아야 할 것도 모르는 주제에 공연히

나서지 말고 가만히 있어라." 라는 뜻이라네요.
이 유래담(由來談)은 여러 지방에서 비슷한 형태로 전해지는데,

지방에 따라 쥐가 개로 바뀌기도 해서 "개뿔도 모른다." 라는 말을 쓰기도 한답니다.
, 쥐에게 먹거리를 준 사람이 남편이 아니라 아내로 전해지는
지방도 있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