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소성무일도 기도 방법

moses-lee 2011. 11. 26. 09:16

레지오 마리애 단원들의 요청으로 소 성무일도 기도 방법을 올립니다.

많은 교우들이 소성무일도를 바칠 수 있는 그날을 위하여...

(주의)다음 카페 프로그램의 특성으로 첨부문서를 직접 클릭하면 내장된 워드 프로그램으로 보입니다.

첨부파일 다운로드 받기를 이용하여 다운 받아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소성무일도 기도방법_Rev1.xls

소성무일도 기도방법
   

아침기도

(찬미경)

아침 6시경

저녁기도

(만과경)

저녁 6시경

끝기도

(종과경)

잠자기전

         
 ※ 토요일과 대축일 전날은 : 주일 제 1 저녁(끝)기도
 ※ 주일과 대축일은 : 주일 제 2 저녁(끝) 기도
초 대 송 초대송 / /  ☞ 초대송 시작전에 후렴을 찾아 준비합니다.
  └후렴은 통상이나 주간 시기를 봅니다(797 P ∼1262 P)
  / 양심성찰   └공동시는 단락마다 , 개인시는 처음과 끝에만 한다/사순시기는 알렐루야 생략
  /  ☞ 초대송 시작시 엄지로 입술에 성호를 그으며…
영광송 /  ☞ 시편 : 94, 99, 66, 23편중 1개 선택
  /  ☞ 끝기도 : 양심성찰시 참회예절은  1881 P 참조
찬 미 가 찬미가 찬미가 찬미가  ☞ 연중은 통상 4주간을 참조
 ☞ 대림/사순등은 전례시기를 참조
 ☞ 마지막 단락에 성 삼위(성부,성자,성령)를 언급시 고개를 숙이며 바친다
    후 렴 1 후 렴 1 후 렴 1  ☞ 후렴은 주간 시기를 참조
편 1 편 1 편 1  ☞ 연중,대림,사순,부활시기는 통상4주간을 참조.
영광송 영광송 영광송  ☞ 매 시편, 찬가 끝에 '영광송'을 바칩니다.
후 렴 1 후 렴 1 후 렴 1  ☞ 공동바칠시 영광송은 계/응을 나누지 않고 시작한 곳에서 끝까지 한다.
후렴 2 후렴 2 후렴 2  ☞ 끝기도에서 시편기도2는 토, 수요일만 합니다.
  편 2   편 2 시편 2(토,수)  ☞ 후렴을 개인으로 바칠때는 처음과 끝에하며 공동시 매 단마다 반복한다.
영광송 영광송 영광송  
후렴 2 후렴 2 후렴 2  
후렴 3 후렴 3 시편2는  ☞ 아침,저녁기도의 시편,찬가는 3편이며
찬가(시편3) 찬가(시편3)  토,수만 함     끝기도의 시편중 평일은 1편, 주일은 2편 임.
영광송 영광송 시편3은 없음  
후렴 3 후렴 3    
성경소구 성경소구 성경소구 성경소구  ★ 일어서서 바치며 끝에 "주님의 말씀입니다."는 하지 않습니다.
           ★ 셋째 계는 "영광이 성부와 성령께"까지하고 뒷절은 하지 않습니다.

아침: 즈가리야

저녁: 성    

   : 시 므 온

       ☞ 후렴은 전례시기를 따르며,
즈가리야의 노래 성모의 노래 시므온의 노래  ☞ 공동으로 바칠때는 일어선다
       
청원기도 청원기도 청원기도 /  ☞ 주간시기를 따릅니다.
주님의 기도 주님의 기도 주님의 기도 /  ☞ 끝에 "아멘"은 하지 않습니다.
         
마침 기도 마침 기도 마침 기도 마침 기도  ☞ 804쪽부터 참조(아침,저녁은 '기도합시다' 생략/ 끝기도는 '기도합시다'로 시작 )

마침기도후          끝의 참조 기도문

 1. 성부와  성령과 함께 세세에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2. 성자께서는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나이다. 아멘.
 3.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804쪽 참조(사,부제 없을시 맨 아랫줄 참조)
성모찬송 / / 성모찬송  ☞ 끝기도시 성모찬송은 816P 참조
 1. 전례주년 참조 페이지      
  로마 전례력 21    성인 고유 기도                                   1293
  전례 시기 고유 기도 33    공동 기도                                          1653
  연중 시기에 지내는 주님의 대축일 743    위령 성무일도                                    1843
  통상문(초대송) 795    부록                                                 1863
  통상 4주간으로 분류된 시편집 819    축일 색인                                          1883
  끝기도 1263    총목차                                              1891
  보충 시편기도     1286  
 2. 통상 4주간 계산 방법      
 - 예)연중27주일 경우:27÷4=6 나머지가 '3'이므로 통상3주간 참조.'1'이 남으면 1주간,'0' 은 4주간 참조.
 3. 약어 : †:주도자, :선창자, :후렴    
  시편,찬가의 기도문중 +표(하나)  *표(하나~둘)는 마음속으로 쉬었다가 다음 구절을 이어나간다.
※용어 변경:야훼님/주여→주님,천주여→하느님,오사→오시어,날→저를,내→저,우리→저희,성신→성령,도우소서→도와주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