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상식_사제의 제의색은 무슨 뜻인가요?
다시 올립니다.
사제의 제의색은 무슨 뜻인가요?
미사 때 사제의 제의 색깔이 항상 같지 않고
전례시기와 미사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제의 색깔이 달라지는 이유는 거행되는 전례의 특성과 전례력에 따라
그리스도인 생활의 의미가 달라진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것입니다.
제의의 색깔은 백색, 홍색, 녹색, 자색, 장미색, 흑색, 금색등이 있습니다.
위령미사에는 흑색보다 자색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으며
한국에서는 소박한 흰 제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 제의색(祭衣色 liturgical color) :
가톨릭 교회에서는 색채(色彩)가 가지는
특별한 의미와 상징을 받아들여 다양한 색깔의 제의를 입는다.
교회력의 각 시기에 있어 제의나 그 밖의 전례 용품에 일련의 색채를 사용한 것은
12세기부터인데, 교황 인노첸시오(Innocentius) 3세(재위 1198~1216) 때에
전례 축일과 각 시기에 따라 특수한 색채를 사용하도록 한 규정이 나왔으며,
교황 성 비오(St. Pius) 5세(재위 : 1566∼1572)의 미사경본에
오늘날과 같은 전례색 규정이 나왔다.
전례색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면 먼저
-백색이 기쁨과 영광과 결백을,
-홍색이 성신(聖神)과 치명(致命)을,
-자색이 통회와 보속을,
-녹색이 성신과 희망을,
-장미색이 기쁨을 뜻한다.
♣ 현재의 새 미사경본 총 지침에 규정된 제의색 규정은 다음과 같다.
① 백색 : 성탄시기와 부활시기, 예수의 모든 축일(수난에 관한 축일 제외)과 성모 축일, 천사들, 순교자가 아닌 성인 성녀들의 축일 등
② 홍색 : 예수수난 성지주일과 성 금요일, 성신 강림 대축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순교자들의 축일, 사도들과 복음사가들의 축일
③ 녹색 : 연중 시기
④ 자색 : 대림시기와 사순절
⑤ 흑색 : 위령의 날과 장례미사
⑥ 장미색 : 대림 3주일과 사순 4주일
미사를 성대하게 거행할 경우에는
그 날이 백색, 홍색, 녹색을 쓰는 축일이면 금색의 제의를 입을 수도 있다.
위령미사에는 흑색보다 자색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한국에서는 소박한 흰 제의를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