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은 미래 교회의 주인」을 제목으로 하는 이 지침서는
수원교구 설정 50주년을 맞아
청소년사목교서 ‘교회와 청소년’ 이래 3년간 준비해온 것으로
지난 10월 5일 교구 설정 50주년 개막미사를 기해 발행됐다.
지침서에는 청소년에 관한 교황들의 교서와 서한,
외국교회들과 국내 교구들의 사목적 노력을 종합했을 뿐 아니라
청소년학계의 최신 이론, 청소년과 청소년사목 관련 담당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포함,
교구의 실정에 맞는 새로운 청소년사목지침이 담겨있다.
크게 이론적이고 선언적인 내용과 구체적인 지침으로 나뉜 지침서는
▲청소년사목지침의 개념
▲청소년사목지침의 수립과정
▲청소년사목지침의 주요 개념들
▲청소년사목지침의 실행
▲청소년사목지침의 효과적 측정
▲붙임자료 순으로 구성됐다.
교구 설정 50주년 기념 준비위원회 청소년복음화소위원회는 발간사를 통해
“청소년사목지침과 더불어 수원교구의 또 다른 새로운 청소년 사목적 도전이 시작된다”며
“청소년사목지침을 통해
수원교구, 더 나아가 한국교회의 미래를 청소년들과 함께 열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구는 향후 5년간 지침 시행을 통해 교구 청소년사목을 대리구·지구·본당·가정에 이르기까지
연대해 청소년 신앙생활을 활성화시키고 동시에 지침서를 수정·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수원교구 청소년사목지침서
「청소년은 미래 교회의 주인」 의미·전망사목현장에서의 활용 위해 ‘실용’에 초점
청소년보다 교회 변화 도모
체계적 연구 바탕으로 한 운영지침 등 붙임자료 수록
수원교구는 청소년사목지침서 「청소년은 미래 교회의 주인」을 내고
5개년에 걸쳐 전문성과 일관성을 가지고 연대하는 청소년사목을 구현해나갈 토대를 마련했다.
청소년사목지침서는 ‘수원교구 설정 50주년 기념 새 복음화 건의안’의 첫 번째 작업으로 제출돼
지난 10월 5일 교구 설정 50주년 개막미사를 기해 교구장의 인준을 얻었다.
교구 전체를 아우르는 지침서의 발효로 교구·본당 등에서 개개 사목자의 역량에 따라
크게 변화하던 청소년사목의 한계가 극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침서가 설정한 수원교구 청소년사목의 목표는 청소년들이
▲이웃 사랑·공동선 추구·문명사회 건설의 주역이 되고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정의와 평화, 인간 존엄성을 위해 일하며
▲구원적 삶과 신앙공동체의 과업에 적극 참여하고
▲인격 및 영적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4가지다.
교구는 이에 따라 청소년사목에 관련된 다양한 이들이 공통목표를 가지고
전략,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지침서는 기존 청소년사목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먼저 청소년이 아닌 교회가 변화해야 함을 천명했다.
지침서는 ‘청소년사목 비전선언문’을 통해
“청소년과 함께하시는 하느님의 크신 뜻에 부응하지 못했음을 반성한다”고 고백하고
▲청소년과 소통할 수 있는 교회
▲청소년들에게 선조들의 신앙을 이어주는 교회
▲청소년들을 위해 일할 전문가들을 양성하는 교회
▲교구·대리구·지구·본당이 청소년 신앙생활 활성화를 위해 연대하는 교회로 쇄신할 것을 밝혔다.
동시에 청소년사목의 책임자를 사제만이 아닌 사제, 부모, 봉사자뿐 아니라
청소년 자신에까지 범위를 넓혀 접근했다.
특히 지침서를 위한 연구과정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뿐 아니라 면담을 통해
초등부에서 청년에 이르기까지 청소년들의 의견을 직접 수렴했다.
이런 지침서의 내용은
2001년 반포된 교구 제1차 시노두스 최종문헌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다.
교구는 지난 2009년 이용훈 주교의 청소년 사목교서 ‘교회와 청소년’가 반포되면서
‘청소년 비전 50 위원회’를 발족해 연구 작업에 들어갔다.
청소년사목 분야에서 오랜 기간 활동한 봉사자와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시노두스 최종문헌과 사목교서의 방향에 따라 청소년사목에 대한 20여 개의 대주제를 설정하고 교구의 현재를 진단, 연구하고 포럼을 통해 정책을 제안했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세계 각 교구의 청소년사목지침서와 정책안, 교황청 청소년 관련 문헌을 분석, 지침서에 적용했다.
3년에 걸친 방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지침서는 이론보다는 실용에 초점을 뒀다.
지침서는 선언적 부분을 최대한 간추리고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시행 및 운영지침, 운영계획, 내규, 규칙, 매뉴얼 등 붙임자료를 상세하게 수록했다.
실제 사목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통해 현장에서 지침들을 구체적으로 실천, 적용하기 위해서다.
지침서는 지침서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조정 기제와 점검기준도 제시했다.
초·중·고·청년에 대한 각종 사목 강화를 비롯해 속인주의적 청소년사목을 위한 거점본당 설치,
청소년전문봉사자(C·L·M) 및 사목자 양성, 어린이 견진성사,
소외된 청소년사목, 청소년센터 설립, 청소년사목연구소 설립 등
19가지로 분류된 조정기제는 지침서의 4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또한 이를 점검할 수 있는 체제도 갖춰 향후 수정 및 보완을 대비했다.
수원교구 청소년국은 이번 지침서를 바탕으로 3단계 5개년 계획을 추진한다.
내년 한 해 동안 지침서를 보급, 봉사자 교육을 하고, 2014~2016년 지침서 시행,
2017년에는 평가·보완·수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