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끈을 잡고/건강하게 살기위하여...

건강_고혈압에 대해서 흔히 받는 질문들

moses-lee 2012. 7. 29. 08:19

고혈압에 대해서 흔히 받는 질문들

고혈압 약은 한번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데?

고혈압의 약물 치료를 주저하는 가장 많은 이유 중에 하나가

혈압약을 한번 복용하기 시작하면 평생 복용해야 한다는 잘못된 인식이다.

고혈압은 원인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높은 혈압을 정상혈압으로 조절하여 주는 치료가 유일하며

이 같은 목적에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약(服藥)을 중지하면

다시 혈압이 올라가기 때문에 계속 약을 복용해야 되는 것이지

약을 먹었기 때문에 뗄 수 없는 것이 아니다.

 

소금섭취와 고혈압은 관계가 없다고도 하는데?

얼마 전 국내 학자가 제한된 연구결과를 언론에서 인용하면서

갑자기 많이 받게 된 질문이다.

한마디로 일반화할 수 없는 결과이다.

일부 식염에 예민하지 않는 고혈압 환자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식염섭취가 증가하면 혈압이 올라가고 약도 더 써야 되는 경우가 많으며

반대로 식염섭취를 줄이면 혈압도 낮아지고 약물사용도 줄일 수 있다.

다만 한국인은 평균 15gm 이상의 식염을 섭취하고 있으므로

하루 권장량인 6gm 이하는 실제로 달성하기 어려워

저염식의 실효를 거두기 어려운 것이 현실일 뿐

저염식은 혈압강하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환영받아야 할 일이다.

 

고혈압이 있으면 절주(節酒)해야 한다는데?

음주와 관계된 밝혀진 것, 잘 밝혀지지 않는 것이 많아

건강한 삶을 위해서 금주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는 정답을 내리기 어렵다.

그러나 고혈압에 관한 한 절주가 필요하다.

음주, 특히 과음한 다음날 혈압측정을 해보면 상당히 높아지는 예가 많다.

절주의 정의가 어렵지만 외국의 성적을 참고하면

맥주 1(720ml), 포도주 300ml, 위스키 2, 소주 3잔 이하를 권하고 있다.

그러나 체격이 상대적으로 적은 한국인의 경우는 이보다 적은 양을 마셔야 할 것이다.

 

뒷머리가 자주 무겁고 땡기는데 고혈압이 아닌가?

고혈압의 증상은 별로 없거나 있어도 혈압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가장 많은 증상이

뒷머리가 무겁고 머리에 꽉 찬 느낌이 오고 목덜미가 뻣뻣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심한 고혈압에서는 두통, 어지러움, 구역질도 나온다.

이 같은 고혈압의 증상은 다른 질병이나 정신적 긴장, 흥분 때에도 나올 수 있으므로

이런 증상이 곧 고혈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같은 증상이 자주 반복되면 혈압을 측정해보는 것이 현명하다.

 

커피는 마셔도 되나요?
커피 속에 있는 카페인은 처음 마실 때 혈압을 올린다.
그러나 계속 마시면 내성(
耐性)이 생겨 혈압을 올리는 효과가 없어지므로 마셔도 된다.

 

약을 오래 복용하면 간장이 나빠진다고 하는데?

약에 과민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약제에 의한 부작용은 복약 후 3개월 내에 나타나므로 그때까지 부작용이 없었다면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고혈압 약은 의사에 의해 처방되고 관리되기 때문에 거의 안심할 수 있다.

그러나 드물게 간장병이 생겼을 때 이를 악화시킬 수도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6개월 내지 1년에 한번 혈액검사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전자식 혈압기, 손가락 혈압기로 재는 혈압은 믿을만 한가요?

자가측정혈압은 적절하게 측정했다면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전자식 혈압기의 경우 측정방식, 측정하는 팔의 위치, 팔의 움직임 등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아 차이가 나올 수 있으므로 일정한 자세에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 당혹해 하는 것은 잴 때마다 차이가 크게 나는 것으로 이는

기계적 문제나 체위, 움직임 등의 문제이므로 일정한 방식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손가락 측정 혈압기는 한쪽 검지에 측정장치를 넣어 재는 편리함은 있으나

손가락 동맥 혈압이 실제로 20∼30mmHg 낮고, 손가락의 높이에 따라 변동이 심하여

혈압치료를 위한 절대값으로 사용할 수 없다.

 

수축기 혈압만 높은데 치료해야 되나요?

확장기 혈압이 90mmHg 미만이고 수축기 혈압만 140mmHg 이상이면

분리성 수축기 고혈압이라고 한다.

이같은 경우에도 수축기 혈압을 140mmHg 미만으로 낮추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