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예물"이란 무엇입니까?
미사예물은 미사를 집전하는 사제에게 드리는 예물을 말한다.
초대교회 신자들은 미사에 참례할 때, 각자 빵과 포도주를 들고 와 제단에 바쳤다.
이때 사제는 이 예물들을 관리하며, 제사에 필요한 양만을 떼어내고
나머지는 사제의 몫으로 생활비의 일부였으나,
매우 불편하였으므로 일정한 금액을 예물로 바치게 된 것이다.
미사는 가장 거룩하고 큰 효과를 주는 기도중의 기도이며, 하느님께 드리는 제사이다.
그런데 제사는 제물이 있어야 하고, 제물의 의미가 부여되어야 한다.
따라서 신자가 특별한 지향을 가지고 미사예물과 함께 사제에게 미사 봉헌을 청하면,
사제는 그 지향에 따라 미사를 봉헌한다.
☞ 미사예물의 성격은
초대 교회에서 신도들이 제물로 바치던 빵과 포도주에 상당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제물의 성격을 지닐 뿐 아니라 교회 운영에 기여하며
성직자의 생활과 사목활동을 경제적으로 돕는 의미를 가진다(교회법 946조).
“성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성전에서 나오는 것을 먹고 살며
제단을 맡아 보는 사람들은 제단 제물을 나누어 가진다는 것을 모르십니까?”(1고린 9:13).
오늘 날 미사예물은 금전적 가치있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으며,
일정 금액을 미사봉헌 때마다 직접 미사예물로 지급할 수도 있고
기금을 세워 그 이자로 수차에 걸친 미사 봉헌의 예물에 충당하게 할 수도 있다.
교회법(945-959조)은 미사예물을 받지 않았을지라도 미사봉헌을 원하는 신도들,
특히 가난한 신도들의 지향에 따라 미사를 드려 줄 것을 사제들에게 권하는 등
미사예물에 관하여 자세히 규정하는 한편
지역 주교회의에서 지역사정에 알맞게 규정하여 시행하도록 하고
그 규정이 없으면 교구의 관습에 따르게 하였다(교회법 952조).
한국 교회는
일찍이 미사예물에 관한 규정을 두어 일반적인 원칙을 세웠으나(한국 가톨릭 지도서),
미사예물의 액수, 지급방법, 용도, 미사봉헌의 시기 등 구체적인 시행 관습은
시대마다 또 교구마다 다르다.
대체로 장엄미사의 예물은 평미사의 그것보다 많으며 신도들의 경제적인 능력에 따라
미사예물의 액수가 다양하다.- 가톨릭 대사전에서 발췌
'성당 > 가톨릭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성체"란 무엇입니까? (0) | 2011.12.15 |
---|---|
성수는 어떤 의미로 언제 사용하나요? (0) | 2011.11.28 |
대림절과 대림환, 대림초란 무엇인가요? (0) | 2011.11.22 |
"대림환"이란 무엇입니까? (0) | 2011.11.22 |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0) | 2011.11.22 |